바닥 케이블이 신경 쓰이거나 데스크테리어(데스크셋업)에 관심 있다면 대부분 데스크 꾸미거나 정리할 수 있는 용품(컴퓨터 주변기기 포함)과 선정리에 대한 제품정보를 찾아보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임시적으로 거주하는 곳에서 간단하고 많은 비용 들이지 않고 선정리 하기 위해서 예전에 1만 원대의 멀티탭 선정리 거치대를 구매하였습니다. 대략 1년 3개월 전. 어차피 곧 이사 가니 거창에게 세팅하거나 너무 비싼 거 사면 어차피 옮기면서 파손될 텐데 말이죠.

고정방식도 나사박아서 고정하는 것이 아닌 손잡이 조임 방식(무타공)입니다. 요즘은 나사나 못으로 박는 제품은 잘 나오지 않죠. 확실한 것은 책상 아래 바닥은 어떠한 간섭 없이 깔끔합니다.

그래서 멀티탭 선정리 거치대는 미관을 깔끔하게 하고 선정리에 도움이 되나? 에 대한 답변은 "반은 맞고 반은 다르다. "라고 개인적인 생각을 포함하여 말할 수 있겠습니다. (거치대 디자인 가격 공간 등 제품마다 느낀 점이 상이함)

 

 

선정리 좋아. 간섭 없어. 그런데 미관은?

 

멀티탭거치대

 


 

거치대는 다 거기서 거기?

책상 멀티탭 거치대는 가격대별로 다양합니다. 알리같은 곳 찾아보면 몇 천 원짜리도 있고 가격 나가는 것은 2-3만 원 대 제품들도 많이 보였습니다.

하지만 가격은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몇 천원대는 내구성이나 조임 방식이 불안하거나 금방 떨어지거나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떨어지는 경우도 있으며 미관도 좋지 못한 경우도 허다합니다. 심지어 책상에 나사 박아서 고정하는 제품도 가끔 보이므로 이런 건 요즘에는 구매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멀티탭 거치대 사용 중 불편함을 느끼는 요소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기에 자세한 것들을 언급하기에는 경험이 부족하기는 합니다만.. 어느정도 만원 대는 넘는 제품을 구매하시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만족하는 부분 및 정신적인 부분에서도 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관은 거치대 종류에 따라 다르다.

어차피 이사예정이고 책상도 변경예정이라서 적당한 가격대의 멀티탭을 반품상품으로 구매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현재 이미지 업로드 한 멀티탭 거치대가 바로 지금 언급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약간 네트망 모양, 불판 모양(?)의 멀티탭 거치대는 케이블타이나 선으로 고정하여 멀티탭이나 충전기 등 다양한 제품을 움직이지 않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하여 마음대로 묶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다이소 같은 곳에서 이중적으로 네트망 바구니 거치대 등을 구매하여 추가로 물건 적재를 할 수 있죠. 

 

거치대옆면

하지만 단점이 위 이미지에서도 보이듯이 선정리를 해도 뭔가? 깨끗한 느낌은 잘 들지 않습니다. 물론 플러그 꼽는 곳 뒤쪽은 눈에 띄는 공간이 아니다 보니 대충 정리한 면도 있기는 합니다만. 그 부분을 제외하고 멀티탭 거치대만 보아도 뭔가? 살짝 아쉬운 느낌이 듭니다.

처음에는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이미지와 비교해보아도 뭐가 문제지.. 코드 개수가 많아서 그런가 충전기 케이블 때문인가 여러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그때 깨닫게 되었죠. 아차! 내 거치대는 어차피 정리를 해도 케이블이 그대로 노출되는 망으로 되어있구나.

그랬던 겁니다. 정리해도 어차피 내부가 육안으로 휜히 보이는데 아무리 깔끔히 정리해도 한계가 있는 디자인이라고 생각 들었습니다. 게다가 아래는 AC/DC변압장치(모니터 직류전원장치) 고정에 많은 선들을 케이블타이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욱여넣는 방식으로 하다 보니까 미관상으로는 더욱 마이너스가 될 수밖에 없는 부분이 된 것이죠.

 


 

무타공 바구니 형태 멀티탭 거치대로 구매하세요.

멀티탭 개수가 몇 개 없거나 플러그 개수가 적은 경우 or 미적 감각이 뛰어나거나 손재주가 좋아서 네트망 형태의 거치대도 상관없지만 너무 저렴하거나 네트망 형태로 되어있는 멀티탭 거치대의 구매는 개인적으로 추천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저 처럼 정리하려고 이것저것 안으로 욱여넣고 케이블타이로 해결한다고 해다 어치피 내부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라서 이건 뭐.. 답이 없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네트망 형태 거치대를 더 찾기 어렵긴 하더라고요. 저의 경우는 몇 년 전에 쿠*에서 반품상품 구매한 거라고는 하지만 갑자기 현타가 오기는 합니다(지금 잘 팔지도 않는 디자인을 어떻게 구한 걸까...)

혹시라도 책상 멀티탭 거치대 구매하실 분들을 아래 이미지처럼 바구니 형태로 되어있는 것을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책상 교체까지 염두에 두고 계신 분들은 책상에 같이 멀티탭 수납함까지 달려있는 일체형을 구매하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Ex. 데스커 등)

광고 아닙니다.

무타공멀티탭
Source: 쿠* 리빙블라썸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입니다. 직접적인 관련 없습니다.
책상일체형거치대데스커일체형
Source: 데스커 상세이미지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입니다. 직접적인 관련 없습니다.

 


 

마무리

책상 멀티탭 거치대 - 선정리 도움 되나? 요약

1. 바닥 선 간섭 없이 깔끔함 유지에 확실히 도움 됨.
(멀티탭 발로 건드리다가 자칫 돌발상황 발생우려? 없다)
2. 요즘은 레버고정 타입으로 나사고정 X
3. 선정리 손재주와 케이블타이 등만 있으면 정리에 더욱 수월
4. 바닥에 놓고 쓸 때보다 매우 만족! 편리하고 시각적으로도 좋음

But. 망 형태로 되어있는 멀티탭 거치대는 미관상 좀.. 다시 생각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 잘 팔지도 않지만...) 잘못 정리하다가 (책상 위쪽이) 더 지저분해 보일 수 있습니다.

선 정리 및 데스크셋업을 위해 멀티탭 거치대 추천하나? -> 망 형태 제외하고 개인적으로 강력추천 드립니다. 확실히 멀티탭 케이블 정리에는 확실한 도움이 됩니다.

단.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은 적당히 알아서 케이블타이로 정리해 주세요. 안 보이는 뒤쪽이라고 그냥 두다가는 거미줄처럼 엉킬 우려도... 

 

멀티탭 고정하고 나면 책상 윗부분에 지지대가 살짝 보이게 됩니다. 이 부분도 책상 색상과 깔맞춤 되면 좋겠지만 지금도 불편하거나 이질적인 부분? 딱히 없습니다.

지지대
지지대앞면지지대옆면

시간 나실 때, 아래 포스트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5.01.27 - [PC 제품리뷰] - SK하이닉스 P31 1TB 유그린 SSD 인클로저(CM559/JMS580 chipset) 조합 사용하기

 

SK하이닉스 P31 1TB 유그린 SSD 인클로저(CM559/JMS580 chipset) 조합 사용하기

SK하이닉스의 P31 모델. pcie 3.0 모델로 저전력 저발열으로 유명해서 발열관리에 취약한 노트북 용도로 자주 추천되는 SSD입니다. 하지만 위의 특징을 이용해서 외장SSD 인클로저로 사용하는 사례도

itinfoprogramvare.tistory.com

2024.11.03 - [HW_SW 문제 해결방법] - [1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사용 중 먹통 반복적인 연결끊김 - HDD케이스 충돌증상?

 

[1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사용 중 먹통 반복적인 연결끊김 - HDD케이스 충돌증상?

2부, 3부 업로드 되었습니다!2024.11.26 - [HW_SW 문제 해결방법] - [2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먹통 해결여부 인식 및 속도이슈 - HDD 케이스 변경? [2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먹통 해결여부 인식 및 속도

itinfoprogramvare.tistory.com

2024.04.07 - [PC 제품리뷰] - 로지텍 mx master 3s 마우스 1년이상 실제 사용후기 - 좋은데 애매하다

 

로지텍 mx master 3s 마우스 1년이상 실제 사용후기 - 좋은데 애매하다

로지텍의 하이엔드 사무용 마우스 mx master 시리즈. 그중에서도 3s 버전을 2022년도 말에 구입하여 현재까지도 사용 중입니다. 처음에는 적응의 문제 및 무게로 인하여 중고사이트에 판매할까 말까

itinfoprogramvare.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이 블로그에는 주관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모든 정보가 정확하다고 맹신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이나 푸터 이미지 내에 기재되어 있는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스킨명은 고래스킨 4.0 이며 저작권은 https://privatenote.tistory.com/ 님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