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에는 센추리온 오리지널 카드도 삼성카드에 있었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삼성에서는 센추리온 오리지널 라인업들은 단종되며 현대카드로 넘어가게 되었으며 삼성에 남은 아멕스 (센추리온 로고 있는) 라인업은 아멕스 블루, 아멕스 리저브 딱 2가지입니다.
디자인만으로 보면 아멕스 리저브가 더 상위이기는 하지만 연회비가 15만원이고 그에 대한 혜택을 다 이용할 자신도 없습니다. 그전에 다음 달 카드값을 생각하면. 또한 컨택리스 결제가 지원되지 않는다고 한 걸 보니 아무래도 통메탈 카드같아보이는데..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아멕스 블루 라인업을 발급받게 되었습니다.
아멕스 블루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카드이며 AMEX 컨택리스 지원됩니다. (후불교통 탑재하면은.) 무엇보다도 연회비가 리저브보다 10배 싼 15,000원. 계산이 이게 맞나 싶지만?
삼성 아멕스 블루 현재는 어떻게 발급될까?
2025년 3월 기준이며 카드 세부 디자인이나 혜택은 변동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배송은 카드명 American Express Blue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블루)라고 기재된 상태로 왔습니다.

기타 카드들과 비슷하게 한도와 수수료 그리고 회원정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옆에는 웰컴 기프트 안내자료인데 삼성카드앱이나 모니모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내용들이네요. 첫 발급 캐시백이나 혜택 같은 정보들이 담겨 있습니다.
카드등록은 ARS전화로 해도 되는데 삼성카드나 모니모앱 설치되어 있으면 그거로 하는게 더 간편하고 좋습니다.

실물카드 디자인
전면입니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로고와 함께 아래는 카드사명(삼성카드)이 적혀져 있습니다. 구글링 좀 해보니 본 국가(미국) 아닌이상 거의 대부분의 나라들의 카드사가 적힌 형태로 아멕스 카드발급이 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블루색상과 유광으로 이루어져 있는 좌측 센추리온 로고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개인적으로 제 마음에 들었습니다.
좀 더 찾아보니 아멕스 본연의 디자인은 좋은데 그 옆에 적힌 카드사명 때문에 별로다라는 의견도 있어서 어떤지 실물로 보았습니다만. 삼성카드 로고가 부드럽고 라운드 하게 리뉴얼되어서 그런지 다행히 괜찮아 보였습니다. 제 입장에서는 오리지널 센추리온 카드의 현대카드 로고도 거슬리거나 그런 거 없이 좋게 보였습니다.
(아멕스 센추리온 오리지널은 발급조건과 연회비가 사악해서 그렇지...)

카드 뒷면입니다. 우측 중앙에 익숙한 아멕스 마크와 함께 컨택리스가 탑재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우측 하단에 와이파이 같은 로고가 컨택리스 로고로 IC결제나 마그네틱 결제 없이 비접촉 터치 결제(EMV)가 가능한 카드입니다. 예전에 비자 컨택리스 광고 많이 해서 요즘 아시는 분들도 어느 정도 있을 겁니다.
삼성카드의 아쉬운 점은 후불교통카드를 신청해야만 EMV 컨택리스를 탑재해 준다는 것? 현대카드처럼 교통여부 상관없이 다 해주면 더 좋았을 수도...

참고자료) 2022.07.03 - [금융관련소식] - 해외직구 트래블페이 외화선불카드 - 장점이 무엇일까 +실물카드발급
해외직구 트래블페이 외화선불카드 - 장점이 무엇일까 +실물카드발급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소비생활을 함으로서 국내에서는 보통 외화를 사용할 일이 많지는 않습니다. 대한민국 원화가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간간이 해외직구 할 때나 해외여행을 갈 때에는 해외
itinfoprogramvare.tistory.com
카드 서명란에는 서명을 위한 공백과 CVC가 적혀져 있습니다. 이는 다른 카드들과 거의 유사하죠.
단. 아멕스 카드의 카드번호는 15자리. CVV 4자리. CVC 3자리라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다른 카드사들은 16자리 및 CVV/CVC 3자리 통합으로 되어있는 것으로 아는데 아멕스 카드는 별도로 되어있습니다. 물론 결제 시에 문제 되는 경우 없습니다. 모두 잘 됩니다.


센추리온 로고는 유광으로 되어있어서 인위적으로 빛을 비추어주면 반짝거리며 빛 반사가 일어납니다.


모바일 페이 디자인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2025년 3월 기준. 삼성페이 및 네이버페이에 반영된 아멕스 블루 카드 이미지입니다.
삼성페이의 경우 우측하단에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사각로고가 들어가 있으며, 네이버페이는 실물카드 디자인 그대로 반영되어 있습니다. QR결제 및 삼성페이(MST) 결제 모두 가능하고요.
삼성페이 카드 하단에 나와있는 카드혜택은 모니모앱에 있는 기능을 대행해 주는? 삼성카드 LINK(카드 혜택 및 캐시백)이며 부가 서비스의 경우 자동 납부 신청 (아파트관리비) 내용입니다. 카드 혜택을 자주 살펴보지 않을까 싶네요.


마무리
요약
1. 삼성 아멕스 블루 카드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포함)
2. 유일하게 연회비 15,000원에 발급받을 수 있는 아멕스.
3. 디자인 개인적으로 만족. (특히 센추리온 로고와 AMEX)
4. 온라인 결제 1.5% / 해외결제 5% 무실적 캐시백 (2025.03 기준)
5. 삼성 LINK혜택 및 웰컴백 혜택(이제 막 발급받은 대상 한하여)을 누리는 것도 좋다.
6. 소득에 맞추어 적당히 사용하자. 신용카드다.
추가.
무실적 카드 다른 것 원하면은... (개인적 의견. 참고만)
삼성카드 -> ID simple (연회비 7,000원)
롯데카드 -> LOCA Likit 1.2 (연회비 10,000원)
정도가 있는 것 같은데 본인의 필요한 혜택에 맞추어 살펴보세요.
(금융 종사자 및 광고 아닙니다. 저 개인 의견에 맞춘 참고자료입니다.)
시간 나실 때, 아래 게시글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05.04 - [일상] -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안타까운 점 - MST결제만 가능 NFC미지원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안타까운 점 - MST결제만 가능 NFC미지원
최근에 네이버페이와 삼성페이의 합작으로 페이가 나오기는 하였습니다. 애플페이 나오고 나서부터 더 공격적으로 마케팅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기존의 삼성페이와 다른점이라고 하
itinfoprogramvare.tistory.com
2022.12.04 - [금융관련소식] - SC제일은행 체크카드 발급 시 주의할 점 - 반드시 필독
SC제일은행 체크카드 발급 시 주의할 점 - 반드시 필독
SC제일은행의 계좌개설 및 체크카드를 발급받으시려는 분들께 관련 주의사항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일단 SC제일은행은 BC카드와는 제휴를 종료한 상태이며 자사 카드(ex. 우리카드, 농협카드
itinfoprogramvare.tistory.com
'금융관련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한국투자증권 제주은행 채권매수 저축목적 1년 투자해보다 (0) | 2024.08.02 |
---|---|
SC제일은행 체크카드 발급 시 주의할 점 - 반드시 필독 (0) | 2022.12.04 |
애드센스 저축 외화보통예금 개설 - USD달러통장 꼭 만들어야 하나? (0) | 2022.10.02 |
우리은행 우리 크리에이터 통장 - 제발 유의사항부터 살피기 권장 (2) | 2022.08.31 |
애드센스 저축용 SC제일은행 계좌개설한 이유 - 한도제한 없음 (0) | 2022.08.21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