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P31 1TB 유그린 SSD 인클로저(CM559/JMS580 chipset) 조합 사용하기
SK하이닉스의 P31 모델. pcie 3.0 모델로 저전력 저발열으로 유명해서 발열관리에 취약한 노트북 용도로 자주 추천되는 SSD입니다. 하지만 위의 특징을 이용해서 외장SSD 인클로저로 사용하는 사례도 많은 것 같습니다.
외장SSD의 경우는 대부분이 C타입이나 USB-A타입 USB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썬더볼트 아닌 이상 전력을 많이 요구하는 제품이면 제대로 인식도 안될뿐더러 외부전원 없이 작동이 안 되면 전력면에서는 HDD와 차이점이 없어지게 되는 것이니... 웬만한 상황에서는 P31을 추천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 연결용도라면 더더욱.
사용환경 자세히 모르면 일단 P31 부터 추천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아무튼 이 SSD에 유그린 CM559 인클로저를 구매하여 외장용도로 사용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P31 1TB + 유그린 CM559 SSD 외장케이스. 이 조합 괜찮나?
불량체크 및 호환성?
제 사용환경에서 P31 SSD와 유그린 SSD 외장케이스 간의 인식불량? 갑작스러운 속도저하 및 끊김과 같은 불안정한 현상은 전혀 없었습니다. 모두 호환 잘 되었습니다.
SSD와 인클로저 케이스를 처음 장착하면 불량체크와 벤치마크를 돌려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전에 디스크 관리에 가서 GUID GPT 파티션으로 세팅해 주고 NTFS나 Exfat로 빠른 포맷 해주셔야 합니다. (맥OS의 경우 APFS or Exfat) 새 SSD 장착하고 인식 안되는데 불량품 아니야? 하시면 아니 됩니다...
대부분은 위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로컬 디스크 인식이 되면 불량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지만 (듣보잡 중국산 아닌 이상...)
디스크 관리에서 디스크 할당 해주고 Crystaldiskinfo 프로그램 들어가서 현재 사용 중인 SSD의 SMART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Read/Write 모두 0GB 인 것으로 보아 새 제품이 온 것이 맞네요. 사실 해외직구품이라 살짝 불안하기는 했다만 1차적 안심을 하며.
벤치마크(성능테스트) 및 더티테스트는 어떤가?
사실 가장 우려되었던 점이 더티테스트였습니다. 벤치마크는 일시적이니 그렇다고 쳐도 더티테스트는 지속적으로 SSD에 쓰기 부하 걸면서 작업하는 것이라서 엄청난 발열을 내뿜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지난 오리코 외장케이스 사용할 때 예상보다 높은 온도)
지난번에 업로드했던 반복되는 알 수 없는 먹통오류(1부)는 해결되었지만. 발열과 성능 부분은 어차피 몇 년이 지나도 계속 사용하는 저장장치라서 중요할 텐데 초기불량 테스트를 위해 이 정도는 해보아야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괜히 나중에 먹통 돼서 데이터 날리는 것보다야..
2024.11.03 - [HW_SW 문제 해결방법] - [1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사용 중 먹통 반복적인 연결끊김 - HDD케이스 충돌증상?
[1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사용 중 먹통 반복적인 연결끊김 - HDD케이스 충돌증상?
2부, 3부 업로드 되었습니다!2024.11.26 - [HW_SW 문제 해결방법] - [2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먹통 해결여부 인식 및 속도이슈 - HDD 케이스 변경? [2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먹통 해결여부 인식 및 속도
itinfoprogramvare.tistory.com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Crystaldiskmark의 경우는 10Gbps 외장케이스 속도에 맞는 제 성능을 내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쉬운 점은 4k 읽기속도가 인터넷에 올라온 벤치보다 좀 느린 거 같기는 합니다만 어차피 외장으로 쓰기에 전혀 문제없는 속도는 물론. Nvme 직결과 USB C타입과는 대역폭과 속도 차이 등 많은 것들이 차이나므로 그냥 적당하게 나왔구나 생각합니다. 썬더볼트 케이스도 아니고 말이죠. 도대체 썬더볼트는 얼마나 빠른 것일까...
나래온 더티 테스트는 스크린샷이 중간에 캡처되지 않아서 아래 이미지 밖에 없지만 지난번 사용했던 디램리스 SSD와는 다르게 중간지점(캐시 영역?) 그 이상까지 안정적으로 700 - 900Mib/s의 속도를 유지해 주었습니다. 외장으로는 거의 디램리스만 사용해와서 이 점은 꽤 놀랐습니다.
한마디로 하자면 안정적이며 캐시용량까지 제 성능 뽑아내준다. 온도도 60도대 이내이며 외장케이스 성능 한계치까지 잘 내준 것 같다.
온도는 더티테스트 할 때와 대용량 파일을 옮길 때 모두 동일합니다. 아이들 상태에서는 40도를 나타내며 파일 옮기기 작업 시 평균 62-63도 나오며(이것도 천천히 올라감) 피크치로는 66도까지 올라가고 더 이상은 오르지 않더라고요.
유그린 외장케이스 내부에 써멀패드와 메탈 방열판이 있는데 파일 복사 중 케이스 윗판을 만져보니 따뜻한 것을 보아 다행히 역할을 잘해주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여기서의 대용량 파일: 영화, iso 등 단일파일을 의미함)
사실 60도 이상만 넘어도 좀 높다고 하다는 분들도 있지만 사실 60도 온도에서 쓰로틀링 걸릴 SSD는 없고 계속 90도 되지 않는 이상 고장 날 일 흔치 않습니다. 솔직히 치아코인 채굴처럼 쓰기 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일도 없을 테고. 개인적으로는 70도 온도도 정상범위라 생각 듭니다. (쓰로틀링만 안 걸린다면)
아래 사진은 기존에 사용하던 WS SN570 더티테스트입니다. SN570 모델도 솔직히 디램리스 SSD 중에서 지금도 가성비로 추천하며(현재 SN580) 좋은 성능과 외장용도로도 모자람 없이 사용가능합니다. 저 또한 지난 2년간 잘 사용해 왔고요.
하지만 게임파일이나(업데이트 포함) 대용량 파일 등의 이동이 많아짐에 따라서 개인적으로 좀 더 고성능의 SSD가 필요하다고 느꼈고 용량도 업그레이드할 겸 P31 1tb 구매해서 사용 중인데 여기서 느꼈습니다.
"디램도 많이 발전한 거는 맞는데(SATA 디램리스 생각하면...) 그래도 디램리스의 태생적 한계는 어쩔 수 없구나. " 참고로 외장 SSD 연결은 HMB 작동 안 됩니다.
마무리
"P31 SSD와 유그린 CM559 외장케이스의 조합 -> 호환성 이슈 없으며 최대성능 잘 나온다"
원래 오리코 외장케이스 사용 중이었다가 방열과 내구성에도 우수한 더 상위모델인 유그린 SSD 외장케이스(속도 10Gbps 동일)로 업그레이드 한 결과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칩셋은 변경됨. 오리코 RTL9210 / 유그린 CM559 JMS580)
사실상 SSD와 외장케이스 모두 업그레이드 한 것인데 다행히도 호환성 이슈가 없으며(읽기, 쓰기, 데티테스트, 인식 먹통증상 전혀 없음, 전력충분) 인클로저에 맞는 최대성능이 나오고 SSD 또한 우수한 디램. 캐시영역을 가지고 있어서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필자의 경우 외장 SSD는 거의 디램리스 모델만 써와서 더 극대화로 느껴지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2024.12.23 - [HW_SW 문제 해결방법] - [3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외장케이스 먹통 드디어 해결 - USB허브 케이블 불량
[3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외장케이스 먹통 드디어 해결 - USB허브 케이블 불량
지난 1부와 2부 게시글을 못 보셨다면,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2024.11.03 - [HW_SW 문제 해결방법] - [1부] 오리코 SSD 인클로저 사용 중 먹통 반복적인 연결끊김 - HDD케이스 충
itinfoprogramvare.tistory.com
유그린 revodok 멀티포트(외부전원 X) 연결 시에도 전력 충분하였으며 아이패드와 갤럭시(S21 Ultra 기준) 모두 정상인식(읽기, 쓰기 포함) 되었습니다.
시간 나실 때, 아래 게시글들도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4.12.31 - [IT소식] - [2025.01] 네이버플러스멤버십 스튜던트 요금제 가입 시 유의할 점
[2025.01] 네이버플러스멤버십 스튜던트 요금제 가입 시 유의할 점
네이버플러스멤버십에는 일반과 스튜던트(대학생 인증) 요금제가 존재합니다. 처음에는 소홀한 관심이었고 저 역시도 딱히 월 4,900원을 주면서까지 구독할 메리트가 있나? 생각했습니다만...최
itinfoprogramvare.tistory.com
2024.07.26 - [알리익스프레스 제품 사용기 리뷰] - [알리] Toocki C타입 충전전력표시 디스플레이 케이블 과연? - 초고속충전 전력손실여부
[알리] Toocki C타입 충전전력표시 디스플레이 케이블 과연? - 초고속충전 전력손실여부
알리익스프레스 같은 곳을 보면 천원마트 등에서 C타입 충전전력(W - 와트)을 표시해 주는 케이블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기기들의 전력을 하나의 케이블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itinfoprogramvare.tistory.com